SEC, 리플 솔라나 ETF 승인 연기 결정

이미지

[제목]=
SEC, 리플 및 솔라나 ETF 승인 연기 결정

SEC, 리플 및 솔라나 ETF 승인 연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RP)과 솔라나(SOL) 등의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습니다. 이는 절차상의 일환으로, 최종 승인 여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SEC의 ETF 승인 연기는 주로 시장 참여자들로부터의 의견 수렴과 제안된 규제 변경 사항의 심층 검토를 위한 시간 확보로 인해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연기는 법적 합병증을 줄이고, 제안된 ETF가 시장 안정성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여러 암호화폐 ETF 승인 연기

3월 11일 SEC는 XRP, 솔라나, 라이트코인, 도지코인 관련 ETF의 승인 결정을 연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제안된 규칙 변경에 대한 검토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최근 암호화폐 ETF의 연기 사례는 12개월 내 3회 이상 발생했고,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규제 적응의 필요성을 반영합니다. ETF의 승인은 대중 투자자에게 새롭고 안전한 투자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레이스케일과 Cboe BZX 관련 ETF 연기

그레이스케일의 XRP ETF와 Cboe BZX 거래소의 솔라나 현물 ETF 신청도 연기된 결정 중 하나로, 이들에 대한 최종 결정은 5월로 연기되었습니다. 이는 SEC의 일반적인 절차에 따른 것입니다.

  • 그레이스케일의 비트코인 트러스트(GBTC)는 이미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다른 암호화폐 추종 ETF들이 승인될 경우 프로덕트 다각화와 시장 안정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Cboe BZX의 경우, 기존 ETF 경험을 통해 더 많은 투자자층을 유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

Bloomberg의 ETF 분석가 제임스 사이퍼트는 이번 결정이 예상된 바이며, 이를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SEC의 차기 위원장으로 지명된 폴 앳킨스의 인준이 아직 진행되지 않았음을 언급했습니다.

  • 많은 분석가들은 암호화폐 ETF의 잠재적인 글로벌 시장 영향을 분석 중이며, 여러 예측 모델을 통해 2024년 말까지 암호화폐 기반 금융 상품의 가치를 10조 달러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ETF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폴 앳킨스 지명 및 ETF 승인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암호화폐 친화적 인사인 폴 앳킨스를 SEC의 차기 위원장으로 지명했으나, 인준 청문회는 아직 잡히지 않았습니다. 사이퍼트는 이러한 상황이 ETF 최종 승인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폴 앳킨스는 과거 SEC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적 금융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임명이 이뤄진다면, 암호화폐와 같은 비전통적 자산에 대한 투자자 보호와 함께 규제 완화 측면에서 균형 잡힌 접근을 시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SEC의 과거 결정 연기 사례

SEC는 과거에도 이더(ETH) ETF 관련 옵션 상장을 위한 Cboe 거래소의 요청에 대한 결정 기한을 연장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연기 결정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 과거 사례에서 보듯, SEC의 연기 결정은 자주 발생하며, 특히 새롭고 복잡한 금융 상품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이는 미 연방 규정에 따라 투자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SEC의 주요한 임무임을 상기시킵니다.

SEC의 규제 방향 및 그 여파

SEC 전 위원장 게리 겐슬러 시절에는 암호화폐에 대한 강력한 규제 조치가 있었으며, 이는 2021년부터 그의 사임까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이후 일부 법적 조치가 취하됐던 기업들이 소송에서 승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최근 법적 승소 사례는 암호화폐 산업이 점차 주류 금융 시장과 융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적 수용성을 높이고, 더 많은 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