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가상화폐 법안 변화
최근 미국에서는 가상화폐에 대한 법적 틀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금세탁 방지와 사용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법안들이 논의되고 있으며, 일부 주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세금 규정도 수정되고 있습니다.
- 미국 재무부는 2021년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암호화폐 거래소가 1만 달러 이상의 거래 내역을 IRS에 보고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 뉴욕 주는 암호화폐 기업 운영을 위한 BitLicense를 받아야 하는 규정을 시행 중이며, 이는 다른 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영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영국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를 명확히 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기업들에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의 역할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대해 자산 상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유동성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2021년 영국의 ‘Queen’s Speech’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금융 안정성에 대한 규제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유럽연합의 가상화폐 규제
유럽연합은 전반적인 가상화폐 규제를 조화롭게 통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는 각국의 규제를 일관되게 조정하여 가상화폐 시장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입니다.
- 유럽연합은 ‘암호자산 시장 규제안(MiCA)’을 통해 가상화폐의 정의, 감독 권한 등을 명확하게 하고 있으며, 2022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MiCA는 유럽 내 27개 회원국에 동일하게 적용될 예정이며, 규제 불확실성을 줄여 기업 및 투자자들이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국가들의 대응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이 가상화폐 규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중국 인민은행은 디지털 위안화의 시범 운영을 확대하고 있으므로,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사용이 기대되었습니다.
- 일본은 2020년 개정된 ‘자금결제법’을 통해 가상화폐를 규율하며, 이에 따라 모든 거래소는 정부의 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가상화폐 규제가 가져올 변화
가상화폐 규제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규제의 강화는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면서도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PwC의 보고서에 따르면, 규제가 잘 시행된 시장에서는 불필요한 변동성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며, 투자자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 글로벌 은행, 예를 들어, HSBC와 JP Morgan은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가상화폐 관련 서비스를 확장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